수강한 강의
제로베이스 PM 파트타임 스쿨
- Chapter 7 프로젝트 관리 방법
- 6. 프로젝트 커뮤니케이션 용어정리 2
- 7. 프로젝트 완료 후
주차
4주차
강의 요약
- 프로젝트 완료 후
- 서비스 운영
- 고객이 서비스 및 제품을 사용함에 있어 사용성을 파악하고 개선사항에 대한 대응을 하는 업무
- CS 응대
- 주요 협업 대상 : 사업팀, 운영팀
- 업무내용
- 고객의 요청사항에 대한 답변
- 서비스 정책 기획
- 파트너 사 관리
- 개발 관리
- 주요 협업 대상 : 개발팀
- 업무내용
- 서비스 업데이트 버전관리
- 장애 대응
- 고객 문의 확인
- 데이터 분석
- 주요 협업 대상 : 개발팀
- 업무 내용
- 데이터 추출
- 데이터 분석
- 대시보드 기획
- 어드민 기획
- 주요 협업 대상 : 운영팀, 개발팀
- 업무 내용
- 운영팀 요청사항 반영
- 어드민 관리
- 프로젝트 회고
- 프로젝트 참여자 전원과 함께 진행하면서 겪은 본인의 소감 및 개선필요사항 등을 공유함
- 다음 차수 프로젝트 개선을 이루어내는 과정
- KPT 회고 방법론
- 팀원들의 의견을 Keep / Problem / Try 로 카테고리화 하여 명시함으로써 프로젝트 회고를 진행하는 방법
- Keep : 프로젝트 진행시에 좋았던, 잘했던 부분이며 다음 차수에도 유지되어야 하는 부분
- Try : Problem에서 확인된 내용을 개선하기 위해 취할 수 있는 액션
- 서비스 운영
생각 정리
프로젝트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개발 용어, 프로젝트 완료 후 업무에 대한 강의를 수강했다.
개발 용어들은 내가 개발자로 근무할 때 친근한 용어들이라서 어렵지 않게 들을 수 있었다.
프로젝트 완료 후 기획자의 업무는 경험한 것들도 있었고 알고는 있지만 해보지 않은 것들도 다시 리마인드 할 수 있는 시간이었다.
작년 겨울에 개발하던 서비스를 릴리즈 하고 개발팀 전체가 모여서 회고하는 시간을 가졌던 기억이 난다.
작은 스타트업 규모의 회사라서 한명만 회고를 경험해봤었고 나머지는 처음 해보는 상황이었다.
그 때, 경험을 해보셨던 팀장님이 KPT 회고 방법론을 썼었다.
위에 정리한 내용처럼 KPT로 나누어서 진행했었다. 처음에는 모두 어색하게 말을 했었지만 한 번 물꼬가 트이고 나니 거의 2~3시간 가량 회의를 진행했었던 기억이 있다. 각자 참여했었던 부분 또는 기획팀과의 커뮤니케이션, 기타 부분들에서 KPT 방법론을 사용했었고 회의가 끝난 후에는 어딘지 모르게 뿌듯했었다.
그리고 다음 프로젝트에는 동일한 아쉬운 부분을 반복하지 않게 해야겠다 라는 동기부여도 크게 됐었다.
서비스 기획자로 취업을 하고 서비스 릴리즈까지 끝내도 방심하지 말고 회고나 기타 업무를 꼼꼼하게 진행하는 기획자가 되겠다!
이 글은 제로베이스 PM 파트타임 스쿨의 강의 자료 일부를 발췌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제로베이스 PM 스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로베이스 PM 파트타임 스쿨] 4주차 - 스크럼, 스프린트 전 프로세스 (0) | 2025.06.12 |
---|---|
[제로베이스 PM 파트타임 스쿨] 4주차 - 린캔버스, 애자일 방법론 (0) | 2025.06.11 |
[제로베이스 PM 파트타임 스쿨] 4주차 - 프로젝트 진행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프로젝트 커뮤니케이션 용어정리 1 (1) | 2025.06.09 |
[제로베이스 PM 파트타임 스쿨] 3주차 - 프로젝트의 우선순위 설정 2, 프로젝트 프로세스의 관리 (1) | 2025.06.08 |
[제로베이스 PM 파트타임 스쿨] 3주차 - 사용자향 서비스의 기획자 vs 사업자향 서비스의 기획, 프로젝트의 우선순위 설정 1 (3) | 2025.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