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한 강의
제로베이스 PM 파트타임 스쿨
- Chatper 6 서비스 기획자의 역할
- 1. 서비스 기획자란
- 2. 서비스 컨셉과 방향성 도출하
주차
3주차
강의 요약
- 서비스 기획자란
- 사용자의 니즈를 발굴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설계하며, 이를 서비스를 통해 증명하는 사람
- 회의를 통해 용어를 통일하고,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 지속적인 질문을 통해서
각 부서에서 현재 어떤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 혹은 실질적으로 진행되어야 되는 프로젝트가 어떤 부분에서 어려움이 있는지 등등을 확인하는 역할을 지속적으로 하면 훌륭한 서비스 기획자 - 서비스 기획자의 업무
- 서비스 기획
- 서비스의 목표를 설정하고 실현하기 위한 프로젝트 기반을 담당
- 시장 리서치, IA 설계, 화면 설계
- 기술 기획
- 서비스 출시를 위한 적용할 기술의 검증 및 적용범위 검토
- 스펙 정의, 리뷰 및 회고, QA
- 운영 기획
- 서비스의 원활한 운영을 위한 장애대응, CS응대 등의 지원업무
- 서비스 정책 정의, CS관리, 장애 대응
- 데이터 기획
- 서비스 운영 및 개선을 위한 로그 설계, 운영, 데이터 추출 및 분석
- 로그 설계, 데이터 추출, 데이터 분석
- 서비스 기획
- 조직 성격 별 서비스 기획자 역할
- 제품 개발
- 가장 일반적인 형태
- 외부 사용자의 니즈를 정제하여 제품 방향성을 설정
- 내부 제품 개발
- 내부 제품(ex. 인하우스 대시보드) 개발 시 취하는 형태
- 사용자가 내부에 위치하고 있어 니즈 파악이 용이함
- 커뮤니케이션 비용이 가장 낮은 형태
- 외부 제품 개발
- 내부에 개발팀이 없거나 외주를 통한 개발팀을 운영하는 형태
- 내부에서 피처리스트 정리하여 외부 개발조직에게 전달
- 커뮤니케이션 비용이 가장 높은 형태
- 제품 개발
- 서비스 컨셉과 방향성 도출하기
- 서비스 컨셉
- 어떤 작품이나 제품, 공연, 행사 따위에서 드러내고자 하는 주된 생각
- 한귀에 들어오느냐 마느냐로 좋은 컨셉, 나쁜 컨셉을 나눌 수 있음
- ex. 넷플릭스
- 좋은 컨셉
- 영화, TV 프로그램을 무제한으로
- 나쁜 컨셉
- 넷플릭스는 스트리밍 서비스로서 여러 시상식에서 수상한 다양한 TV 프로그램...
- 좋은 컨셉
- 서비스 컨셉 설정 단계
- 문제의식 발굴
- 시장 트렌드
- 시장 모니터링
- 개인의 경험
- 문제의식 검증
- 데이터 추출 및 분석
- 리서치
- 벤치마킹
- 개선사항 도출
- 문제해결 방안 초안 설계
- 구현 가능성 검토
- 서비스 컨셉 설정
- 서비스 설계를 위한 가설 설정
- 서비스 제공 가치의 정의
- 문제의식 발굴
- 서비스 컨셉 설계 시 고려사항
- 개선하고자 하는 단계별 확인 지표 - AARRR
- Acquisition - 사용자 유치
- 현재 사용자가 어떻게 서비스를 접하고 있는가?
- KPI : 트래픽, DAU(일별 사용자 수), MAU(월별 사용자 수)
- Activation - 사용자 활성화
- 사용자에게 좋은 경험을 제공하고 있는가?
- KPI : CAC(사용자가 서비스에 인입하는데 들인 비용), CPC(사용자가 클릭을 한번 하는데 들인 비용), 이탈률
- Retention - 사용자 유지
- 서비스 재사용율은 어떻게 되는가?
- KPI : 재방문 수
- Referral - 사용자 추천
- 서비스가 자발적 확산이 이루어지는가?
- KPI : 공유수, 초대코드 인입수
- Revenue - 최종목표
- 서비스가 최종목표를 달성하고 있는가?
- KPI : 서비스별 상이
- 서비스 컨셉
생각 정리
서비스 기획자에 대한 강의를 들었다.
서비스 기획자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커뮤니케이션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디자인 팀, 개발 팀, 사업 팀 등 여러 팀과 커뮤니케이션 채널이 되어줘야하는 직무라고 생각했다.
AARRR에 대해서도 한번 더 정리할 수 있어서 개념을 확립할 수 있는 시간이었다.
적용
서비스 기획자의 역할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그림을 몇가지 조사해봤다.



이 글은 제로베이스 PM 파트타임 스쿨의 강의 자료 일부를 발췌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제로베이스 PM 스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로베이스 PM 파트타임 스쿨] 3주차 - B2C 서비스, B2B 서비스 (1) | 2025.06.06 |
---|---|
[제로베이스 PM 파트타임 스쿨] 3주차 - 목적 중심 조직, 기능 중심 조직에서의 기획자의 역할, 사용자향 서비스 vs 사업자향 서비스 (0) | 2025.06.04 |
[제로베이스 PM 파트타임 스쿨] 3주차 - Revenue, Refarral, Carrying Capacity (2) | 2025.06.02 |
[제로베이스 PM 파트타임 스쿨] 2주차 - Activation, Retention (3) | 2025.06.01 |
[제로베이스 PM 파트타임 스쿨] 2주차 - AARRR (2) | 2025.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