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로베이스 PM 스쿨

[제로베이스 PM 파트타임 스쿨] 6주차 - 프로덕트 팀의 구성, 개발자 및 디자이너와의 협업 방법

주탱2 2025. 6. 29. 20:15

수강한 강의

제로베이스 PM 파트타임 스쿨 

  • Chatper 11 개발자, 디자이너와 협업하는 방법
  • 1. 오늘의 집 프로덕트 구성
  • 2. 서비스 기획직무(PM, PO)가 개발자 및 디자이너와 효과적으로 협업하는 방법

주차

6주차

강의 요약

  • 프로덕트 팀의 구성 (오늘의 집)
    • 트랙 (컨텐츠, 커머스, O2O 등) = Tribe : 가장 큰 조직 : 여러개의 Squad로 이루어져 있음
      • 비즈니스 조직
        • 영업팀, 운영팀, MD팀, etc
      • 프로덕트 조직 = Squad
        • PDG(Product Design Group)
          • Product Owner
          • Product Manager
          • Product Designer
          • Data Analyst
        • 개발팀
          • Frontend Developer
          • Backend Developer
      • Cross Functional Product Team (목적 조직)
        • 개발팀, 디자인팀, 기획팀 등으로 나눠진 기능조직과 비교하여 특정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프로덕트 개발에 필요한 모든 인원이 하나의 팀으로 구성되어 있는 조직
        • 자기 완결성을 띄어야 함
        • 유저에게 피드백을 얻기 위한 최소한의 단위의 제품증분이나 MVP를 만들 수 없는 조직이라면 애자일 조직구성으로서 완벽하지 않음
        • 다양한 기능을 담당하는 팀원이 하나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일하기 때문에 시너지를 발휘할 수 있음
      • Product Team = PDG + Tech Team
      • PDG = PO(Product & PDG Leader) / PM / Product Developer
      • Tech Team = TL (Tech Leader) / Backend Developer / Frontend Developer
  • 개발자 및 디자이너와 협업하는 방법
    • 협업 능력
      • 개발자와 디자이너의 업무 방식을 존중하고 효율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돕는다.
      • 개발자와 디자이너가 절차상 필요한 존재라고 치부하지 않고, 중요한 파트너로 대한다.
      • 개발자와 디자이너가 제대로 일할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을 준다.
      • 프로젝트 초반부터 개발자와 디자이너가 참여하도록 독려한다.
      • 전문가에게 권한을 위임한다.
    • 커뮤니케이션 능력
      • 커뮤니케이션이 일관적이고 명확
      • 팀원의 의견을 경청하고, 다양한 의견을 취합하여 실행방안으로 만들어 낼 수 있음
      • 최대한 많은 정보를 자주 공유 (오버커뮤니케이션 > 언더커뮤니케이션)
      •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팀원들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앞으로 무엇을 해야하는지 잘 알고 있음
    • 업무 범위 및 리스크 관리 능력
      • 중요한 것에 집중
      • 무자비할 정도로 불필요한 것을 걸러냄
      • 업무 범위 조정과 실험을 통해서 리스크를 관리
    • 의사결정 능력
      • 사용자와 비즈니스 결과를 최우선으로 고려하여 일관적이고 투명한 결정을 내린다.
      • 자신의 자존심이나 명성을 위해서가 아니라 소비자, 비즈니스, 팀을 위한 결정을 한다.
      • 데이터에 기반한 결정을 내릴 줄 안다.
    • 업무 지식
      • 정성적 / 정량적 리서치 방법에 대해서 이해한다.
      • 데이터를 활용하고, 데이터를 이해하는 사람과 협업할 수 있다.
      • 어떤 결정을 내릴 때, 기술적으로 무엇을 의미하고 오래 걸릴지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 최소한의 개발지식 및 디자인 지식을 보유하고 있다.
    • 목표와 비전 설정 능력
      • 왜 이 일을 해야하는지 그 비전과 목표를 제대로 설명할 수 있다.
      • 지속해서 사용자, 경쟁사, 시장조사를 하고 이를 제품에 반영한다.
      • 해결책보다는 문제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더 깊이 고민한다.
    • Biz Stakeholders (비즈니스와 관련된 이해관계자) 와 건설적인 의견 교환 능력
      • 경영진에게서 오는 압박을 잘 수용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업무를 해야하는지 알고있다.
      • 제품을 더 좋게 만들기 위해서 회사 경영진에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
      • 해결책보다는 문제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더 깊이 고민한다.
    • 개방적 태도
      • 피드백을 사적인 감정으로 받아들이지 않는다.
      • 자기 아이디어와 사랑에 빠지지 않는다.
      • 팀원이 답변을 요구하면, 제때 제대로된 답변을 할 수 있다.

생각 정리 & 적용점

오늘은 오늘의집 프로덕트 팀의 구성요소와 여러 직무와 협업하는 방법에 대해서 공부했다.

 

오늘의 집 프로덕트 팀을 통해서 보통 회사가 어떻게 구성되어있는지 알 수 있었다. 기존에 다니던 회사와 크게 다르지 않았고 다른 회사들도 큰 특이점은 없다고 생각이 들었다.

 

여러 직무와 협업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면서 제일 인상깊었던 점은 오버커뮤니케이션이 언더커뮤니케이션보다 좋다는 점이었다.

전적으로 동의하는 내용이었고 전 회사에 있으면서도 가장 많이 느낀 점 중 하나였다.

 

작업 내용을 잘못 이해하고 잘못된 결과물을 낸 적이 있다.

 

커뮤니케이션이 많았다면 초기에 수정할 수 있었을텐데 꽤나 많은 리소스를 잡아먹었던 기억이 있다.

 

후에 서비스 기획자로 근무를 한다면 적절한 주기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서 팀원들 모두가 같은 방향을 바라보게 진행하고싶다!

 

이 글은 제로베이스 PM 파트타임 스쿨의 강의 자료 일부를 발췌하여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