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로베이스 PM 스쿨
[제로베이스 PM 파트타임 스쿨] 4주차 - MVP 활용 사례, MVP 활용, 와이어프레임vs프로토타입
주탱2
2025. 6. 16. 23:15
수강한 강의
제로베이스 PM 파트타임 스쿨
- Chapter 8 서비스 기획 업무
- 17. MVP 활용 사례
- 18. MVP 활용
- 19. 와이어프레임 vs 프로토타입
주차
5주차
강의 요약
- MVP 활용 사례
- Dropbox
- 제품을 개발하기 전, 클라우드 서비스의 시장 니즈를 파악하기 위해 약 3분가량의 영상 업로드
- 하루만에 75,000 건의 니즈를 파악
- 창업자는 막대한 자금이 드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구축하기 전에, 유저들의 뜨거운 반응을 파악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시간과 자원을 절약할 수 있었음
- Airbnb
- 센프란시스코에서 열리는 디자인 컨퍼런스에 맞춰 인근에 호텔을 구하기 어려운 참가자들에게 저렴한 숙박과 아침을 제공
- 웹사이트에 올려 3명의 손님을 받게 되었고, 사람들이 낯선이의 집에 묵으며 돌을 낼 의향이 있다는 시장의 니즈를 파악할 수 있었음
- Dropbox
- MVP 활용
- 새로운 기능(제품)을 개발하는 단계에서 적절한 MVP를 설정하여, 리소스 낭비를 최소화 하고 최대의 배움을 얻을 수 있게 하는 것이 PO의 핵심 능력
- 고려해야할 2가지 사항
- 어떠한 가설을 검증하려 하는가
- 그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 필요한 핵심 기능은 무엇인가
- 제품 개발 관련 인원은 모두 각자의 욕구가 뚜렷하기 때문에 균형점을 찾아야 함
- MVP는 내고 끝내는것이 아님
- 고객반응을 통해서 배움을 얻고 이를 통해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야 함
- 와이어프레임 vs 프로토타입
- 시제품이 나오기 전 제품의 초기 버전
- 기획자, 개발자, 디자이너 사이의 이해간격을 좁혀주는 역할
- MVP와 다르게, 실제 사용자인 고객이 사용/피드백하는 용도라기보다는 내부 의사결정을 위해서 활용
- 와이어 프레임
- 디자이너가 작업을 시작할 수 있는 기초역할을 함
- 세부 묘사에 치주치지 않고 핵심적인 요소만 최대한 추상화하여 표현하는 것이 일반적
- 애니메이션이 적용된 효과, 복잡한 전환 등 복합적인 디자인 아이디어를 설명하는 경우에는 프로토타입이 더 나음
- 프로토 타입
- 와이어프레임과 다르게 실제와 비슷하게 구현된 상태로 간단한 인터렉션을 포함
- 와이어프레임과 프로토타입의 의의
- 모두 결국에느 의사소통의 도구
- 궁극적으로 기회컨셉을 디자이너와 개발자가 제대로 이해하기만 하면 됨
- 자신이 가장 쉽고 편하게 다룰 수 있는 툴을 통해 빠르게 만들고
- 더 자주, 더 깊은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것이 중요
생각 정리
MVP에 대한 사례와 활용, 프로토타입/와이어프레임에 대해 수강했다.
이번 강의를 수강하면 나도 MVP를 빠르게 만들고 출시해서 사용자들의 니즈를 알아볼 수 있는 제품을 만들고자 기획했다.
또, 와이어 프레임과 프로토타입에 대해서 공부하면서 만들고자하는 제품을 어떻게 진행할 지 뚜렷한 그림이 보였다!
빠른 시일내에 MVP를 개발해서 과정도 포스팅하는 시간을 가져야겠다!

이 글은 제로베이스 PM 파트타임 스쿨의 강의 자료 일부를 발췌하여 작성되었습니다.